일반 상식 7

세계 각국의 사랑고백

* 프랑스 - 당신은 나의 작은 양배추, 밤마다 당신 꿈만 꿉니다. * 독일 - 평생 당신의 발자국 위에 키스하겠소. * 일본 - 아침마다 나를 위해 된장국을 끓여주지 않으시겠습니까? * 우즈베키스탄 - 하늘의 별만큼, 당신의 머리카락만큼 당신을 사랑합니다. * 리투아니아 - 나는 당신이라는 장미 가시에 콕 찔리고 싶습니다. * 중국 - 당신의 노비가 되어 살고 싶어요.

일반 상식 2021.03.11

궁녀의 월급

"태조실록"에 따르면 조선시대 궁녀는 국가에서 체계적인 월급을 받는 공무원이었다. 업무와 연차에 따라 급여가 달랐는데, 지금 화폐 가치로 환산해 보면 적어도 150만원이 넘는 월급을 받았다. 그리고 12시간 근무 후 36시간의 휴식을 받는 등 근무조건도 좋았다. 궁녀는 음식을 만들거나(수라간), 옷과 이부자리를 만들거나(침방), 의복과 장식물에 수를 놓거나(수방), 음료와 과자도 만들고(생과방), 목욕을 준비하고(세수간), 빨래를 담당하는(세답방) 등 각자 전문 영역에서 일한 전문직 여성이었다.

일반 상식 2021.02.22

치아가 고르지 않는 이유

치아가 고르지 않는 것은 잠자는 습관의 영향이 크다. 어른의 머리 무게는 보통 5Kg이다. 베개를 베고 옆으로 또는 엎드려서 자면 머리 무게가 직접적으로 치아를 누른다. 치아 한 개에 30~300kg 무게의 힘이 가해지는 것이다. 치열 교정 때 치아에 가해지는 힘은 20~70kg 이므로 잘못된 자세로 자고 있는 동안 치아가 움직이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일반 상식 2021.02.11

계산 기호의 유래

( - ) 선원이 나무통에 남은 물의 양을 표시하기 위해 그은 가로줄로부터 유래했다. 배에 실은 물은 매일 줄어들기 때문에 뺄셈 기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 + ) 통에 물을 채울 때 남을 물을 나타냈던 가로줄에 세로줄을 그려 넣은 것으로 가로줄을 지웠다. 그래서 덧셈 기호로 사용하게 되었다. ( × ) 1631년 영국의 올레드라는 수학자가 교회 십자가를 보고 생각해 냈다. 그때까지는 3 × 3은 3 multiplied by 3 이라고 표현했다. 그는 이를 번거롭게 생각해 × 를 곱셈 기호로 사용하자고 주장했다. ( ÷ ) 17세기 말엽에 스위스의 하인리히 라안이라는 사람이 처음으로 만들어 썼다. 그러나 그 무렵에는 나눗셈보다 비례 기호가 여러 가지로 연구되고 있었다. 따라서 라인이 발명한 나눗셈의 기호..

일반 상식 2021.02.03